임상병리학과2 뇌파검사 뇌파검사란? 사람은 살아있는 한 계속해서 뇌파를 발사하고 있는데 질병에 의한 뇌의 상태는 뇌파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뇌파를 기록해서 여기서 얻어진 정보를 해독하여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자는 것이 임상검사에 있어서 뇌파검사의 목적이다. 주치의로부터 검사 목적을 확인하고 증상과 대조해서 유도법이 부활법을 선정하는 것은 의사의 지시에 의하지만 전임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의료기사에게도 어느 정도의 판단력이 있어야 한다. 적어도 어떤 이상소견의 유무를 기대하고 있는지 검사 전에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다. 기록 중에 환자의 상태를 기재하고 이상소견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록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두어야 하는 것이다 대뇌피질의 신경 세포군에서 발생한 뇌 전.. 2022. 5. 21. 심전도검사 심전도검사란? 심전도란 심장의 세포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변화(탈분극 전압 및 재분극 전압)를 심전계를 이용하여 그래프로 기록한 파형을 말한다. 심전도 파형에 나타난 다양한 전기적 변화들은 결국 심장의 수축과 이완의 원동력이 된다. 심장은 자동적, 율동적인 수축을 한다는 점에서 생체내의 다른 부분의 근육에 비해 특이하다. 심근세포가 전기적으로 흥분되는 탈분극 현상은 심장박동의 원동력이 되며 이와 같은 탈분극을 일으키기 위해서 분명히 어떤 전기적 자극이 필요하다. 다행히 우리의 몸속에서 이러한 전기적 자극을 생성하는 기구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곳은 바로 심장 내 존재하고 있는 동방결절 혹인 동결절이라는 아주 작은 기구이다. 이 작은 기구가 생명의 원동력이 되는 심장박동을 주도하는 발전기의 역할을 하게 된다는 .. 2022. 5.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