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기사3 뇌파검사 뇌파검사란? 사람은 살아있는 한 계속해서 뇌파를 발사하고 있는데 질병에 의한 뇌의 상태는 뇌파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뇌파를 기록해서 여기서 얻어진 정보를 해독하여 질병에 대한 진단과 치료에 도움을 주자는 것이 임상검사에 있어서 뇌파검사의 목적이다. 주치의로부터 검사 목적을 확인하고 증상과 대조해서 유도법이 부활법을 선정하는 것은 의사의 지시에 의하지만 전임의사가 없는 경우에는 의료기사에게도 어느 정도의 판단력이 있어야 한다. 적어도 어떤 이상소견의 유무를 기대하고 있는지 검사 전에 미리 알아둘 필요가 있다. 기록 중에 환자의 상태를 기재하고 이상소견을 명확히 함으로써 기록한 내용을 다른 사람이 보더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두어야 하는 것이다 대뇌피질의 신경 세포군에서 발생한 뇌 전.. 2022. 5. 21. 초음파 검사 인간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주파수는 20-2000Hz라고한다 . 2000Hz보다 높은 주파수를 가진 음파를 초음파라 부르며 이는 귀로 들을 수 없다. 초음파 진단법이란 인체의 체표에서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음향저항의 차이 즉 밀도나 경도의 차이가 있는 조직에서 초음파를 반사하는 것을 이용하여 반사된 메아리를 탐지하고 영상화함으로서 시각화하여 그 안의 내용물의 성상을 알아내는 것을 말한다 의학에서 초음파 검사·진단에의 응용은 초음파를 생체내부로 쏘아 보내 돌아오는 echo를 받아 그 신호로부터 생체내부를 화상으로 묘사해서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음에 의해 생체 내부가 관찰되므로 초음파 화상을 acou-stic imaging 라고 한다. 초음파의 특징은 인체 내부 장기를 나타낼 수 있는 특성을 가지고.. 2022. 5. 21. 임상생리학적검사 1.임상생리학이란? 임상생리학은 인체의 생리학적 기능 현상이 적절하게 조절되고 있는지를 연구하고 평가, 분석하고자 하는 학문 영역으로 해부학과 생리학적인 지식을 기초로 한다. 특히, 최근 의용기기의 혁신적인 발달로 이들 각종 기계 및 기구들을 활용한 생체 내 생리기능 현상을 분석 평가하여 질병의 진단과 치료 경과 및 예후 판정에 중요한 임상적 의의를 제공하는 의과학의 기초 학문이다. 2.임상생리학적 검사의 중요성 임상생리학적 검사란 피검자의 인체를 직접 시행하는 검사라는 것을 자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즉, 환자에게 고통을 주지 않고 진단에 직접 연결되는 검사인 것이다. 의과학은 첨단과학의 한 분야인 전자공학의 접목으로 인하여 많은 검사방법이 전문화, 간이화, 자동화, 세분되고 있어 의학 정보를 신속, .. 2022. 5. 20.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