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잡학지식

후두신경통이란? 뒷머리 바늘로 찌르는 통증

by 깜냥제제 2025. 3. 22.
반응형

후두신경통(Occipital Neuralgia)이란? 

1. 후두신경통(Occipital Neuralgia) 

후두신경통(後頭神經痛, Occipital Neuralgia)은 후두신경(occipital nerve)에 염증이나 자극이 가해져 발생하는 신경병증성 통증(neuropathic pain)이다. 후두신경은 머리 뒤쪽과 목 뒷부분의 감각을 담당하는 말초신경으로, 주로 **대후두신경(Greater Occipital Nerve), 소후두신경(Lesser Occipital Nerve), 제3후두신경(Third Occipital Nerve)**이 있다.

이 신경들이 압박되거나 손상되면 극심한 두통과 전기 충격 같은 통증이 발생하며, 만성적인 두통과 구별하기 어렵다. 따라서 후두신경통을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많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지 않으면 통증이 지속되거나 악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2. 후두신경통의 원인은?

후두신경통은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특정 원인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신경 압박 및 자극

  • 근육 긴장 및 경직:
    • 목과 어깨 근육이 과도하게 긴장하면 후두신경을 압박할 수 있다.
    • 오랫동안 잘못된 자세(예: 컴퓨터 작업, 스마트폰 사용)로 인해 근육이 뭉칠 경우 신경이 눌리게 된다.
  • 목뼈(경추) 이상:
    • 경추 디스크(목디스크, 경추추간판탈출증)
    • 척추관 협착증(Spinal stenosis)
    • 골극(뼈 돌기, Bone spur) 발생
  • 외상(Trauma, Injury)
    • 교통사고로 인한 목 손상(편타 손상, whiplash injury)
    • 머리 뒤쪽을 강하게 부딪힌 경우
    • 스포츠 활동 중 목에 가해지는 충격

염증 및 신경 질환

  • 후두신경염(Occipital Neuritis): 바이러스 감염, 면역 이상 등이 원인
  • 대상포진(Varicella-Zoster Virus, VZV): 신경에 염증을 일으켜 극심한 통증 유발
  •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 신경계 손상으로 인해 후두신경이 영향을 받을 수 있음

혈관 이상

  • 후두부로 가는 혈관이 신경을 압박할 경우 발생할 수 있음
  • 편두통과 연관된 혈관 확장

기타 원인

  •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 장기간의 스트레스와 불안

3. 후두신경통의 증상

후두신경통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후두부(머리 뒤쪽)에서 시작되는 심한 통증이다.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다.

통증의 특징

  • 날카롭고 찌르는 듯한 통증
  • 전기 충격을 받는 듯한 느낌
  • 타는 듯하거나 쑤시는 통증
  • 두피가 민감해지고, 가벼운 접촉에도 통증 유발

통증의 위치

  • 머리 뒤쪽(후두부)에서 시작하여 위쪽으로 퍼짐
  • 한쪽 또는 양쪽에서 발생 가능
  • 목 뒷부분, 귀 뒤쪽, 이마까지 퍼질 수도 있음

기타 증상

  • 두피 감각이 예민해짐
  • 눈 통증 및 시야 흐림
  • 머리를 특정 방향으로 움직일 때 통증 증가
  • 편두통과 유사한 증상 동반 가능

4. 후두신경통과 다른 두통과의 차이점

후두신경통은 편두통이나 긴장성 두통과 유사한 증상을 보일 수 있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다.

구분 후두신경통 편두통 긴장성 두통

통증의 유형 찌르는 듯한 신경통 욱신거리는 맥박성 통증 둔하고 압박하는 통증
통증의 위치 후두부에서 시작 한쪽 머리(측두부) 양쪽 머리 전체
발생 원인 신경 압박, 손상 혈관 확장, 신경 염증 근육 긴장
동반 증상 두피 감각 과민 빛·소리에 민감, 메스꺼움 스트레스와 관련
치료법 신경 차단 주사, 약물 편두통 약물 스트레칭, 마사지

5. 후두신경통의 진단 방법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의사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

신체 검사 및 병력 조사

  • 환자의 통증 위치와 양상을 평가
  • 목과 머리 움직임에 따른 통증 변화 확인

후두신경 차단술(Diagnostic Nerve Block)

  • 국소마취제를 후두신경에 주사하여 통증이 줄어드는지 확인
  • 통증이 감소하면 후두신경통 진단 가능

영상 검사

  • MRI(자기공명영상): 신경 압박 원인을 확인(디스크, 종양 등)
  • CT(전산화 단층촬영): 뼈 구조 문제 확인
  • 초음파 검사: 신경 주위 조직 평가

6. 후두신경통의 치료 방법

① 비수술적 치료

  1. 약물 치료
    • 소염진통제(NSAIDs):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
    • 근육 이완제: 바클로펜(Baclofen)
    • 항경련제: 가바펜틴(Gabapentin), 프레가발린(Pregabalin)
    • 항우울제: 아미트립틸린(Amitriptyline)
  2. 물리치료 및 운동
    • 마사지, 온찜질, 스트레칭
    • 바른 자세 유지(컴퓨터 작업 시 모니터 높이 조절)
  3. 신경 차단 주사
    • 국소 마취제 + 스테로이드 주사
    • 단기적으로 통증 완화 효과
  4. 보톡스 주사
    • 신경 과민 반응 억제

② 수술적 치료 (심한 경우)

  • 신경 감압술(Decompression Surgery): 신경을 압박하는 구조물을 제거
  • 신경 절제술(Nerve Ablation): 신경을 선택적으로 차단

7. 후두신경통 예방 및 관리

  • 올바른 자세 유지
  • 장시간 스마트폰 사용 자제
  • 목 근육 스트레칭 및 강화 운동
  • 충분한 휴식과 스트레스 관리

8. 결론

후두신경통은 신경 손상이나 압박으로 인해 발생하는 심한 통증을 동반한 질환이다. 편두통과 혼동될 수 있어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며, 약물 치료, 신경 차단 주사, 생활 습관 개선 등을 통해 증상을 관리할 수 있다. 만성적인 통증이 지속되면 신경 감압술 등의 수술적 치료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증상이 있는 경우 가까운 신경과에 방문하셔서 전문의와 상담받아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