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전도검사(筋電圖檢査, Electromyography, EMG)는 근육과 신경의 전기적 활동을 측정하여 신경 및 근육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이 검사는 근육의 자발적인 전기 신호와 신경 자극에 대한 반응을 기록함으로써 신경계와 근육계의 이상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신경과 의사나 재활의학과 의사가 주로 시행하며, 말초신경 손상, 근육병증, 신경근 접합부 질환 등을 진단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1. 근전도검사의 원리
근전도검사는 신경과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평가하는 검사로, 일반적으로 신경전도검사(Nerve Conduction Study, NCS) 와 침근전도검사(Needle Electromyography, Needle EMG) 두 가지로 나뉩니다.
- 신경전도검사(NCS)
신경에 미세한 전기 자극을 가한 후, 신호가 말초신경을 따라 이동하는 속도와 크기를 측정합니다. 신경 손상이 있으면 신호의 전달 속도가 느려지거나 약해지는 특징이 나타납니다. 주로 손목터널증후군, 당뇨성 신경병증, 길랭-바레 증후군 등의 말초신경 질환을 진단하는 데 활용됩니다.
----> ncs 신경전도검사는 대부분 임상기사들이 시행을 합니다.
- 침근전도검사(Needle EMG)
가느다란 전극 바늘을 근육에 직접 삽입하여 근육의 전기적 활성도를 측정합니다. 근육이 이완되었을 때나 수축했을 때 발생하는 신호를 분석하여 근육 자체의 이상 여부나 신경 손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근이영양증, 루게릭병(ALS), 근무력증 등의 근육 및 신경근 접합부 질환 진단에 필수적인 검사입니다.
---------> 침근전도검사는 신경과의사 및 재활의학과 의사가 직접 바늘로 신경이나 근육을 자극해 시행합니다.
2. 근전도검사가 필요한 질환
(1) 말초신경 질환
발다리 및 손등 전신에 저림 및 감각이상시 시행합니다.
- 손목터널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 손목의 정중신경이 눌려 손저림, 감각 이상이 발생하는 질환
- 당뇨병성 신경병증(Diabetic Neuropathy): 당뇨로 인해 말초신경이 손상되는 질환
- 길랭-바레 증후군(Guillain-Barré Syndrome): 신경에 염증이 생겨 근력 저하와 감각 이상이 발생하는 자가면역 질환
(2) 근육 질환
갑자기 한쪽 다리 근육이나 팔에 근육이 이상하거나 양쪽 근육사이즈가 다를때 근육질환여부를 알기위해 시행합니다.
- 근이영양증(Muscular Dystrophy): 근육이 점차 약해지고 위축되는 유전성 질환
- 다발성 근염(Polymyositis): 근육에 염증이 생겨 통증과 근력 저하가 나타나는 질환
(3) 신경근 접합부 질환
갑자기 팔다리에 힘이빠지거나 힘이 안들어갈때 확인을 위해 시행합니다.
- 근무력증(Myasthenia Gravis): 신경과 근육 사이의 신호 전달이 원활하지 않아 근육의 힘이 쉽게 빠지는 질환
- 람버트-이튼 증후군(Lambert-Eaton Syndrome): 신경에서 아세틸콜린 분비가 감소하여 근력 저하가 발생하는 질환
(4) 척추 및 신경질환
디스크환자의 신경눌림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디스크 질환(추간판 탈출증, Herniated Disc): 척추 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해 방사통 및 감각 이상을 유발
- 척수병증(Myelopathy): 척수가 눌리거나 손상되어 감각 및 운동 기능이 저하되는 질환
- 루게릭병(ALS,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운동신경세포가 점차 파괴되는 진행성 신경 질환
3. 근전도검사의 절차
- 신경전도검사: 피부에 전극을 부착하고 전기 자극을 가해 신경 반응을 측정
- 침근전도검사: 근육에 가는 바늘을 삽입하고 근육 신호를 측정
- 검사 중 감각: 신경전도검사는 약간의 찌릿한 느낌이 들며, 침근전도검사는 근육에 바늘이 들어가므로 약간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음
- 검사 시간: 평균적으로 30분~1시간 정도 소요됩니다.
4. 근전도검사의 장점과 주의사항
장점
- 비침습적인 방법(신경전도검사): 비교적 간단하고 부담이 적음
- 정확한 신경 및 근육 평가 가능
- 다양한 신경 및 근육 질환 조기 진단 가능
주의사항
- 침근전도검사는 약간의 통증이 동반될 수 있음
- 출혈성 질환(예: 혈우병)이나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 주의가 필요함
- 검사 후 근육통이 생길 수 있으나 대부분 일시적인 증상임
5. 결론
근전도검사는 말초신경 및 근육 질환을 평가하는 데 필수적인 검사로, 다양한 신경 및 근육계 질환을 진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손저림, 근력 저하, 감각 이상 등의 증상이 있을 경우 근전도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근전도 검사는 의료보험이 적용되는 검사로 신경과 또는 재활의학과에서 많이 시행하고있습니다.
또한, 장애진단여부를 확인하기위해도 시행됩니다.
'잡학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지럼증 증상이있을때 하는검사는 어떤게 있나요? (0) | 2025.03.24 |
---|---|
후두신경통이란? 뒷머리 바늘로 찌르는 통증 (0) | 2025.03.22 |
자율신경이란? 교감시경 부교감신경이상 증상 (0) | 2025.03.22 |
앉았다일어날때 급작스런 어지럼증 "기립성 빈맥증후군" (0) | 2025.03.21 |
자고난후 갑작스런 어지럼증 이석증이란? (0) | 2025.03.21 |
댓글